조경의 의미 는 좁은 의미로는 집 주변의 정원을 만드는 일에 중점을 두는 것, 즉 식재 중심의 전통적인 조경기술이다. 넑은 의미는 집 주변의 정원뿐만 아니라 모든 옥외공간을 포함하는 환경을 조성하고 보존하는 종합과학예술이다. 조경의 필요성은 우리나라에서는 1970년대 초 경제개발계획에 의해 국토 훼손이 심각해지면서 자연환경 보호와 경관관리의 필요성을 느껴 조경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도시화가 진전되면서 환경오염이 증가하고, 기온 또한 상승하였으며, 하천의 범람횟수가 많아졌다. 건물이나 인간활동의 집중으로 도시 중심부의 온도가 올라가는 열섬현상(Heat Island)이 일어나고 있는 지역 주변의 강우량이 증가하고 있다.
조경의 정원양식 은 주로 세가지로 분류한다. 정형식 정원은 서아시아와 유럽지역에서 발달한 양식으로, 건물에서 뻗어 나가는 강한 축을 중심으로 좌우대칭형으로 구성되며, 수목의 전정은 기하학적 형태이다. 자연식 정원은 동아시아에서 주로 발달한 양식으로, 유럽에서는 18세기경부터 영국에서 발달하여 유럽대륙에 영향을 주었고, 자연을 모방하거나 축소하여 자연적 형태로 정원을 조성하였으며, 연못이나 호수 중심으로 정원을 조성하여 주변을 돌 수 있는 산책로를 만들어 다양한 경관을 즐길 수 있도록 하였다. 이 둘을 조화시킨 것이 절충식 정원이다. 한 정원에 정형식과 자연식의 형태적 특징을 동시에 지니고 있는 양식으로, 실용성을 중시한 정형적인 구성 내에서 자연적인 요소를 도입하여 실용성과 자연성을 절충하였다. 각 역사 속의 조경설계에 대해 알아보자면 우선 이집트의 주택정원을 뺴놓을 수 없다.
이집트의 주택정원 은 무덤, 벽화를 통해 당시의 정원을 추측할 수 있다. 테베에 있는 아메노피스 3세의 한 신하의 분묘와 아메노피스 4세의 친구의 메리레의 정원이 바로 그 사례이다. 정원은 네모 반듯하고 높은 울담, 담 안에 몇 겹의 수목 열식, 구형 또는 T자형 침상지(계단 형태의 연못), 물가의 키오스크(정자)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바빌로니아의 공중정원은 신바빌로니아의 네부카드네자르 2세가 왕비 아미티스를 위해 조성한 정원으로 세계 7대 불가사의 중 하나이다. 성벽의 높은 노단 위에 수목과 덩굴식물을 식재하여 만든 최초의 옥상정원이다. 지구라트형의 피라미드가 계단층을 이루고 각 노단의 외부를 화랑으로 두르고 있다. 각 테라스마다 수목을 식재하고, 강물을 끌어다 저수지에 저장 관수한다.
그리스의 조경 은 아고라(Agora)가 대표한다. 도시활동의 중심지로서, 시장이나 집회소로 이용하였다. 도서관, 의회당, 신전, 야외음악당으로 둘러싸인 중앙공간의 광장이 그것이다. 히포데이무스는 최초의 도시계획가로 아테네에 도시를 건설하였다.
로마의 주택정원 은 폼페이의 주택정원으로 2개의 중정과 1개의 후원으로 구성된 내향적인 양식이다. 제1중정인 아트리움(Atrium)은 손님 접대나 사무를 위한 공적 공간으로 무열주 중정이며, 돌포장과 화분장식을 한다. 제2중정 페리스틸리움(Peristylium)은 주정의 역할을 하는 가족을 위한 사적공간으로 주랑식 정원이고, 바닥은 포장하지 않은 채 탁자와 의자를 배치했으며, 화훼와 분수, 조각, 제단, 돌수반 등을 정형적으로 식재하고 배치하였다. 지스터스(Xystus)라 불리는 후원은 수로를 축으로 그 좌우에 산책로인 원로와 화단을 대칭적으로 배치한 것이 특징이다.
역사적 조경 중 포럼(Forum)은 지배계급을 위한 상징적 지역으로 왕의 행진, 집단이 모여 토론할 수 있는 광장의 성격을 지녔다. 둘러싸인 건물군에 의해 일반광장, 시장광장, 황제광장으로 구분한다.
그라나다의 알람브라궁전 은 13세기 중반 무함마드 1세에 의해 창건되어 14세기 말에 완성되었으며, 무어양식의 극치를 나타낸다. 알람브라의 아랍어로 '붉은 것'이라는 뜻이며, 주요 건물과 성채를 붉은색 벽돌로 지은 데서 유래하였다. 이슬람이 멸망할 때지 지켜진 최후의 유적지로 4개의 중정이 남아 있다. 오늘날 4개의 중정은 이슬람 역사적 조경을 살펴볼 중요한 유산이다. 알베르카 중정(Alberca)은 궁전의 주정으로 공적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정확한 비례와 화려함, 장엄미가 뛰어나다. 사자의 중정(Lion)은 이름에서 나타나듯이 주랑식 중정으로 가장 화려하고, 12마리의 사자가 수반과 분수를 받치고 있으며, 분수로부터 4개의 수로가 뻗어 중정을 사분한다. 린다라하 중정(Lindaraja)은 중정 가운데에 분수를 시설하여 여성적인 분위기를 연출하였고, 가장자리에 회양목을 식재하여 여러 모양의 화단을 만들었다. 마지막 창격자 중정(Reja)은 닥은 둥근 색자갈로 무늬를 주고 중앙에는 분수를 세워 환상적이면서도 엄숙한 분위기를 연출하며, 중정 네 귀이에 사이프러스를 식재하여 사이프러스 중정이라고도 한다.
조경과 정원으로 가장 잘 알고 있는 프랑스정원 의 특징은 17세기와 18세기로 구분할 수 있다. 17세기는 산림 내 소로(Allee)를 이용하여 장엄한 경관을 전개한다. 또한 산림에 싸인 내부공간은 다양한 형태와 색채를 도입한 기하학적이고, 장식적인 정원으로 구성하였고, 넓은 평지에는 매크로한 옥외공간을 형성하였다. 장식적인 평면상의 구성으로 소택지 등의 평지를 적극 활용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18세기는 영국의 자연풍경식 조경양식이 유행하였다. 에름농빌(Ermenonvile), 쁘띠 트리아농(Petit Trianon), 몽소곡원(Monceau park) 등이 대표적이다.
미국의 센트럴파크(Central park)는 영국 최초의 공공 공원인 버켄헤드공원의 영향을 받은 최초의 공원이라 할 수 있다. 미국 도시공원의 효시가 되었고, 국립공원운동에 영향을 주어 1872년 옐로스톤공원(Yellowstone park)이 최초의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부드러운 곡선의 수법과 폭넓은 원로, 넓은 잔디밭으로 구성하였다.
중국정원의 특징은 못을 파서 섬을 쌓아 선산으로 꾸미는 등 인위적으로 산수를 조성하는데 있다. 축산기법의 발달로 더욱 압축된 산수경관을 조성하며, 풍경식이면서도 경관의 대비에 중점을 두고 있는 것이 특색이다. 하나의 정원 속에 부분적으로 여러 비율을 혼합하여 사용하고, 기하학적 무늬의 전돌바닥 포장과 기괴한 모양의 괴석 사용으로 바닥면과 대조를 이루고 있다. 이렇듯 자연의 미와 인공의 미를 함께 사용하면서 사실주의보다는 상징주의적 축조가 주를 이루는 사의주의에 입각하는 조경의 미를 보여준다.
일본정원의 특징으로는 시대별로 구분할 수 있다. 무로마치시대에는 조석이 중시되고 전란의 경제적인 제약으로 정원이 축소되어 가는 경향이 있었다. 선 사상이 정원 축조에 영향을 주었고, 고산수식 정원이 발달하였다. 에도시대 전기에는 교토 중심이었고, 중기 이후에는 에도 중심이었는데 후원은 건물과 독립된 정원으로 지천회유식 (중앙에 있는 연못 주위를 돌며 관상)이다. 서원정원은 건물에 종속되며 회화식으로 옥내에서 조망하도록 조성한 것이 특징이다.
'식물을 알아가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1월 독서] 후멜로, 피트 아우돌프의 삶과 정원 (0) | 2024.01.04 |
---|---|
식재 뿌리돌림, 지주 세우기, 조경시공 공정표 종류, 잔디 떼심기 (0) | 2024.01.02 |
조경시공 자주 쓰는 재료 best 7(콘크리트, 금속재료 포함) (0) | 2023.12.06 |
조경수목 및 조경시공 재료(목재, 석질, 점토질, 벽돌, 타일, 시멘트) (0) | 2023.12.05 |
백제, 고려, 조선시대 정원 특징 및 정원 설계 (0) | 2023.12.04 |